Background Modelization
UFI (Uneven Field Illumination - 불균일한 시야의 조명)은 천체사진에서 가장 흔한 문제로 흔히 비네팅(Vinetting)으로 알고 있다. UFI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광공해와 달빛이고, 이것 외에 지상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광원이 UFI를 유발한다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ixInsight는 크게 두 가지 프로세스 - AutomaticBackgroundExtractor, DynamicBackgroundExtraction - 를 제공하고 있다.
기억할 것은 어느 쪽이 항상 더 낫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, 촬영한 대상을 두고 양 쪽 다 사용해 보는 것을 권한다. 결과물을 확인해서 다음의 두 프로세스 중에 하나의 결과물을 사용하면 된다.
1. Automatic Background Extractor (ABE)
말 그대로 자동으로 UFI를 확인해서 제거해주는 프로세스다.
설정만 해주면 알아서 UFI를 제거해 준다.
설정만 해주면 알아서 UFI를 제거해 준다.
- Sample Generation
- Box seperation은 10~20으로 설정
- Global Rejection
- 초심자는 그냥 둔다
- 이것 저것 완전 테스트(계속 바꿔가며 해보기)
- 이 기능은 큰 사이즈의 방해요소를 해결하는데 사용
- Local Rejection
- 초심자는 그냥 둔다
- 이것 저것 완전 테스트(계속 바꿔가며 해보기)
- 작은 사이즈의 방해요소를 해결하는데 사용
- Interpolation and Output
- Function degree를 2로 설정
- Target Image Correction
- Correction: Subtraction으로 설정
- 순수하게 Vinetting만 제거하고 싶을 때는 Division으로 설정한다
- Normalize 체크해제
- Discard backgroun model 체크해제
- Replace target image체크해제
2) DynamicBackgroundExtraction
이름이 '동적인' 것은 다 이유가 있다. 일일히 수작업으로 해줘야 한다.
제일 간단하게 하는 방법
- 프로세스가 열리면 대상 프레임을 한번 클릭 해준다. 화면에 십자 격자가 나타난다
- 각 격자마다 가장 까만 부분(별이 없는 부분)을 선택해 한번씩 클릭 해준다
- 각 격자마다 5 ~ 10개 정도만 하면 충분하다
- Target Image Correction
- Correction : Subtraction
- 나머지 모두 체크 해제
조금 섬세하게 하는 방법(딥스카이 사진촬영 가이드 참고)
- Model Parameter (1)
- Tolerance를 0.5~2.5로 조절
- Sample Generation
- Sample per row를 10~30으로 설정 (10 추천)
- Target Image Correction
- Correction : Subtraction
- 나머지 모두 체크 해제

직접 해보면 느껴지지만 ABE와 DBE 처리 후
Background Model이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
Background Model이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
기타 참고사항
- ABE나 DBE나 어느쪽을 쓰든 좀 더 나은 결과를 얻고 싶다면 OSC의 경우 ChannelExtraction 프로세스를 이용해 각각의 색상(RGB/K)에 따로 ABE/DBE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고 한다.
이후 ChannelCombination 프로세스를 이용해 다시 합치면 된다. - 심한 광공해가 있으면서 화면에 가득찰 만큼 큰 성운을 찍은 경우, Red 마스터 프레임이나 H-alpha 프레임을 이용한 후 New Instance기능으로 나머지 마스터 프레임에 적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.
댓글
댓글 쓰기